“내년부터 받을 수 있는 돈의 기준이 바뀝니다.”
보건복지부가 2025년 7월 2026년도 기준 중위소득을 발표했습니다. 그 결과, 기초생활수급자 생계급여 기준이 한 단계 더 올라갑니다. 올해(2025년)에 아깝게 탈락했던 가구도 내년(2026년)에는 수급 가능성이 열렸습니다.
이번 글에서는 현재 적용(2025년) 기준과 내년 적용(2026년) 기준을 한 눈에 비교하고, 가구원 수별 생계급여 선정기준액과 생활 예시, 신청 팁까지 표와 예시로 알기 쉽게 총정리해드립니다.
1. 현재 기준(2025년 적용) 요약
지금(2025년) 지급되는 생계급여는 2024년 7월 발표 기준 중위소득을 바탕으로 산정됩니다.
구분 | 1인 | 2인 | 3인 | 4인 |
---|---|---|---|---|
기준 중위소득(월) | 2,392,013원 | 3,932,658원 | 5,025,353원 | 6,097,773원 |
생계급여 선정기준(중위 32%) | 765,444원 | 1,258,451원 | 1,608,113원 | 1,951,287원 |
※ 실제 지급액 = 선정기준액 − 가구 소득인정액(소득·재산·부양의무자 요건 반영).
2. 2026년 적용 기준(2025년 7월 발표)
2026년 1월부터는 2025년 7월 발표 수치가 적용됩니다. 인상 폭이 커져 수급 가능 가구가 확대됩니다.
구분 | 1인 | 2인 | 3인 | 4인 |
---|---|---|---|---|
기준 중위소득(월) | 2,564,238원 | 4,199,292원 | 5,359,036원 | 6,494,738원 |
생계급여 선정기준(중위 32%) | 820,556원 | 1,343,773원 | 1,715,,?원 | 2,078,316원 |
※ 생계급여 선정기준은 2026년에도 기준 중위소득의 32%를 적용(의료 40%, 주거 48%, 교육 50% 동일).
3. 2025 vs 2026 비교표
가구원 수 | 2025년 생계급여 기준액 | 2026년 생계급여 기준액 | 증가액 |
---|---|---|---|
1인 | 765,444원 | 820,556원 | +55,112원 |
2인 | 1,258,451원 | 1,343,773원 | +85,322원 |
3인 | 1,608,113원 | 1,715,?원 | +107,?원 |
4인 | 1,951,287원 | 2,078,316원 | +127,029원 |
4. 신청 자격·절차·필요서류
신청 자격
- 가구의 소득인정액이 가구원 수별 선정기준액 미만
- 부양의무자 기준 완화 적용 시 신규 대상 포함 가능
신청 절차
- 거주지 주민센터 방문 또는 복지로 온라인 확인
- 신청서 작성 및 소득·재산 조사 동의
- 자격 심사 후 결정 통지 → 급여 지급
필요서류(예시)
- 신분증, 임대차계약서
- 급여명세서·사업소득 증빙, 자동차등록원부 등
※ 실제 제출 서류는 가구 상황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.
5. 생활 속 사례 4가지
사례 A(1인) : 월 소득인정액 70만 원 → 2026년 기준(820,556원) 미만으로 수급 전환 가능.
사례 B(2인) : 합산 소득 120만 원 → 2026년 기준(1,343,773원) 미만, 월 약 20만~30만 원 생계급여 가능.
사례 C(4인) : 소득인정액 195만 원 → 2025년엔 간발의 차로 탈락, 2026년 기준(2,078,316원)으로 신규 수급 가능.
사례 D(노인 부부) : 근로소득 적고 연금만 받는 가구 → 완화된 기준과 상향된 선정액으로 매달 생활비 부담 경감.
6. 추가로 알아둘 것: 의료·주거·교육 급여 기준
생계급여는 4대 급여 중 하나이며, 나머지 의료·주거·교육 급여는 선정 기준이 더 완화되어 생계급여를 받지 못하더라도 지원받을 수 있는 경우가 많습니다.
급여 종류 | 2026년 기준 (1인 가구) | 중위소득 대비 | 지원 내용 |
---|---|---|---|
생계급여 | 820,556원 | 32% | 현금 지원(생활비) |
의료급여 | 1,025,695원 | 40% | 진료비·약제비 지원 |
주거급여 | 1,230,834원 | 48% | 임대료·주거비 지원 |
교육급여 | 1,282,119원 | 50% | 학비·급식비·교재비 등 |
※ 위 수치는 2026년 기준 중위소득 2,564,238원을 기준으로 산정한 금액입니다.
7. 핵심 요약 & 마무리
- 2026년 적용 기준 발표(2025.07)로 생계급여 선정액이 전반적으로 상향.
- 올해(2025년)에는 기존 기준 적용, 내년(2026년)부터는 새 기준으로 선정.
- 올해 탈락했던 가구도 내년에는 수급 가능성 대폭 확대.
2026년 기초생활수급자 생계급여 기준은 단순한 숫자 변화가 아니라, 현실에서 생활비 부담을 줄이고 더 많은 가구에게 안전망을 제공한다는 점에서 큰 의미가 있습니다.
예를 들어, 월 소득이 70만 원 수준인 1인 가구는 내년부터 신규 수급이 가능하며, 맞벌이 부부 합산 소득이 120만 원 정도인 2인 가구도 매달 20만 원 이상을 지원받게 됩니다. 또한 노년층은 연금 외 근로소득이 일부 있더라도 공제가 확대되어 실질적으로 더 많은 가구가 혜택을 보게 됩니다.
자동차 재산 기준 완화 및 청년·노인 근로소득 공제 확대는 2024년 7월 고시되어 2025년에 적용된 정책으로, 2025년 7월 발표(2026년 기준)에서는 별도의 완화 조치 없이 기준 중위소득 인상 및 급여 상향에 집중되었습니다.
따라서 본인이나 가족이 해당될 수 있다면, 미루지 말고 주민센터나 복지로에서 신청 자격을 꼭 확인하시길 권합니다. 작은 변화가 가계에 큰 도움이 되어, 어려운 시기를 버텨내는 힘이 될 수 있습니다.
출처: 보건복지부 고시 및 보도자료(2025.07 발표, 2026년 1월 적용), 복지로 카드뉴스 정리.
'복지혜택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상생 페이백 대상자 확인부터 신청 완료까지 실전 가이드 (1) | 2025.08.23 |
---|---|
으뜸 효율 가전 환급, 전기세 절약 + 현금 돌려받는 법 (2) | 2025.08.19 |
청년문화예술패스 지금 신청! 공연·전시·영화 무료·할인 혜택 총정리 (6) | 2025.08.11 |
국민내일배움카드 지원금 최대 500만 원, 신청부터 강좌 선택까지 한 번에 (10) | 2025.08.09 |
숨은 정부지원금 찾기: 소득·연령별 맞춤 혜택 한눈에 정리 (6) | 2025.08.06 |